Changes between Initial Version and Version 1 of Definition


Ignore:
Timestamp:
Sep 6, 2023 3:32:33 AM (20 months ago)
Author:
admin
Comment:

--

Legend:

Unmodified
Added
Removed
Modified
  • Definition

    v1 v1  
     1[.. SDE] 
     2 
     3= Terms and Definitions = 
     4|| Document Name || Terms and Definitions (용어정의집) || 
     5|| Document No. || QM-DEF || 
     6|| Revision No. || 1 || 
     7|| Release Date || 2023.07.31 || 
     8|| Company Name || GIRJAESOFT Co., Ltd. || 
     9|| Author || Sanglim LEE || 
     10|| Reviewed || - || 
     11|| Approved || Sanglim LEE || 
     12 
     13== Revision History == 
     14||= Revision No.=||= Date =||= Changes =||= Author =|| 
     15|| 1 || 2023.07.31 || First release || Sanglim LEE || 
     16 
     17== 1. Purpose == 
     18본 문서는 의료기기를 개발할 때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BR]] 
     19만약 개별 프로젝트에서 본 문서에서 정의한 용어와 다르게 사용할 경우,해당 용어가 사용된 문서에 별도로 정의한다.  
     20 
     21== 2. Scope ==  
     22본 문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작성되며, 본 문서에서 다루는 기술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23 1. 용어 정의 
     24 
     25== 3. Reference ==  
     26||=Acronym=||=Document=|| 
     27|| IEC14971 || Medical devices – Application of risk management to medical devices || 
     28|| IEC62304 || Medical device software – Software life cycle processes || 
     29|| MSDIC || Microsoft Computer Dictionary 5th ed., Microsoft Corporation, 2002. || 
     30 
     31== 4. Definition ==  
     32 
     33=== 활동 (ACTIVITY) === 
     34하나 이상의 상호관련 또는 상호작용 업무 
     35 
     36=== 비정상 상태 (ANOMALY) === 
     37요구사항 문서, 설계 문서, 표준 등에 기초한 예상치 또는 인식이나 경험에서 벗어나는 조건. 비정상 상태는 의료기기 S/W 제품 또는 해당 문서의 검토, 시험, 분석, 작성 또는 사용 중 확인(be found)할 수 있다. [IEEE 1044:1993, 정의 3.1] 
     38 
     39=== 구조 (ARCHITECTURE) === 
     40시스템이나 구성부품의 조직 구조. [IEEE 610.12:1990] 
     41 
     42=== 변경 요청 (CHANGE REQUEST) === 
     43의료기기 S/W를 변경하기 위한 요청. 문서화된 시방서 또는 버그 관리 시스템을 통해 요청된다.  
     44 
     45=== 형상 항목 (CONFIGURATION ITEM) ===  
     46특정 기준점에서 고유하게 확인(identified)할 수 있는 실체. 
     47 
     48=== 산출물 (DELIVERABLE) === 
     49활동이나 업무에서 요구되는 결과 또는 산출(문서화 포함) 
     50 
     51=== 평가 (EVALUATION) === 
     52실체가 지정 기준을 충족하는 범위에 대한 체계적인 판단. [ISO/IEC 12207:2008, 정의 4.12] 
     53 
     54=== 위해 (HARM) === 
     55사람의 보건에 대한 신체적 상해나 피해 또는 양쪽 모두. 또는 재산이나 환경에 대한 피해 [ISO 14971:2012 정의 2.2] 
     56 
     57=== 위해요인 (HAZARD) === 
     58위해의 잠재적 원인 [ISO 14971:2012 정의 2.3] 
     59 
     60=== 위험한 상황(HAZARDOUS SITUATION) ===  
     61사람, 재산 또는 환경이 하나 이상의 위해요인에 노출된 상황 
     62 
     63=== 레거시 S/W (LEGACY SOFTWARE) === 
     64합법적으로 시판되었고 현재에도 계속해서 시판되고 있으나 이 표준규격의 현재 버전에 적합하게 개발되었음을 입증하는 객관적인 근거가 불충분한 의료기기 S/W 
     65 
     66=== 제조자 (MANUFACTURER) === 
     67의료기기의 설계, 제조, 포장 또는 라벨링, 시스템 조립 또는 해당 관계인이나 해당관계인을 대리한 제3자가 운영을 수행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시판 및 사용 전 의료기기의 채택을 담당하는 자연인이나 법인. [ISO 14971:2012 정의 2.6] 
     68 
     69=== 의료기기 (MEDICAL DEVICE) === 
     70다음과 같은 특정 목적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위해 인간에 대해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는, 제조자의 기구, 장비, 도구, 기계. 기구, 이식 조직편, 체외 시약 또는 측정기, S/W, 자재 또는 기타 유사하거나 관련된 품목 
     71 1. 질병의 진단, 예방, 모니터링, 치료, 또는 경감 
     72 1.상해의 진단, 모니터링, 치료, 경감 또는 보상 
     73 1.비정상 상태 또는 생리학적 프로세스의 조사, 대체, 수정 또는 지지 
     74 1.생명지지 또는 유지 
     75 1.임신관리 
     76 1.의료기기의 소독 
     77인체에서 채취한 표본의 체외 검사를 사용해 의료 목적을 위한 정보 제공 또는 약리학, 면역학, 또는 신진대사적 수단으로 인체에 의도된 주된 조치를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이 그러한 수단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 
     78 
     79=== 의료기기 S/W (MEDICAL DEVICE SOFTWARE) === 
     80개발 중인 의료기기에 채택할 목적으로 개발된 S/W 시스템 또는 자체 권한으로 의료기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S/W 시스템 
     81 
     82=== 문제 보고서 (PROBLEM REPORT) ===  
     83사용자나 다른 이해관계 당사자가 의도된 사용에 불안전하고 적절하지 않거나 시방서와 다르다고 생각하는 의료기기 S/W의 실제 또는 잠재적 작동상태의 기록 
     84 
     85=== 프로세스 (PROCESS) === 
     86입력을 출력으로 변환하는 일련의 상호관련 또는 상호작용 활동. [ISO 9000:2000, 정의 3.4.1] 
     87 
     88=== 출시 (RELEASE) ===  
     89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시판된 형상항목의 각 버전 
     90 
     91=== 회귀시험 (REGRESSION TESTING) === 
     92시스템 구성부품에 대한 변경이 기능성, 신뢰성 또는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추가 결함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기에 필요한 시험. [ISO/IEC 90003:2004, 정의 3.11] 
     93 
     94=== 잔여위험 (RESIDUAL RISK) === 
     95위험통제수단을 실행한 후에도 남아있는 위험 
     96 
     97=== 위험 (RISK) === 
     98위해 및 위해 심각도 발생 가능성의 조합 [ISO 14971:2012 정의 2.16] 
     99 
     100=== 위험분석 (RISK ANALYSIS) === 
     101위해를 식별하고 위험을 추정하기 위한 사용 정보의 체계적인 사용. [ISO 14971:2012 정의 2.17] 
     102 
     103=== 위험통제 (RISK CONTROL) === 
     104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며 위험이 지정 수준으로 감소하거나 지정 수준 안에 유지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ISO 14971:2012 정의 2.19] 
     105 
     106=== 위험추정 (RISK ESTIMATION) ===  
     107위해의 발생 확률과 위해의 심각성에 값을 부여하는 과정 
     108 
     109=== 위험평가 (RISK EVALUATION) === 
     110위험의 허용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주어진 위험기준과 추정위험을 비교하는 과정 
     111 
     112=== 위험관리 (RISK MANAGEMENT) === 
     113위험 분석, 평가 및 관리 업무에 대한 경영정책, 절차 및 방법의 체계적인 적용 [ISO 14971:2012 정의 2.18] 
     114 
     115=== 위험관리파일 (RISK MANAGEMENT FILE) ===  
     116위험관리 프로세스에서 생성되는 기록과 기타 문서. 단,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ISO 14971:2012 정의 2.23] 
     117 
     118=== 안전성 (SAFETY) === 
     119허용할 수 없는 위험의 부재 [ISO 14971:2012 정의 2.24] 
     120 
     121=== 보안 (SECURITY) === 
     122미승인 관계자나 시스템이 정보와 데이터를 읽을 수 없게 만들며, 승인 관계자나 시스템이 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가 거부되지 않도록 정보와 데이터를 보호하는 활동. [ISO/IEC 12207:2008 정의 4.39] 
     123 
     124=== 중상 (SERIOUS INJURY) === 
     125다음과 같은 부상이나 질병 
     126 1. 생명을 위협한다. 
     127 1. 신체 기능에 대한 영구적 훼손이나 신체 구조에 대한 영구적 피해가 발생한다. 
     128신체 기능에 대한 영구적 훼손이나 신체 구조에 대한 영구적 피해 배제에 의료적 또는 수술적 개입이 필요하다. 
     129 
     130=== S/W 개발 수명주기 모델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MODEL) === 
     131요구사항의 정의에서부터 제조를 위한 출시에 이르기까지 S/W의 수명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적 구조로서, 
     132 1. S/W 제품 개발에 관련된 프로세스, 활동 및 업무를 확인(identify)한다. 
     133 1. 활동과 업무 사이의 순서와 의존성을 설명한다. 
     134 1. 특정 산출물의 완벽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일정을 확인(identify)한다. 
     135 
     136=== S/W 항목 (SOFTWARE ITEM) === 
     137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식별 가능한 부분. 즉, 소스코드, 오브젝트 코드, 컨트롤 코드, 컨트롤 데이터, 또는 이러한 항목의 집합 
     138 
     139=== S/W 시스템 (SOFTWARE SYSTEM) === 
     140특정 기능이나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S/W 항목(item)을 통합한 집합체 
     141 
     142=== S/W 유닛 (SOFTWARE UNIT) === 
     143다른 항목(item)으로 다시 분류할 수 없는 S/W 항목(item). S/W 유닛의 크기는 프로젝트 팀에 의해 결정되며, 클래스일 필요는 없다.  
     144 
     145=== 기원이 확인되지 않은 S/W (SOUP) ===  
     146(SOUP ; Software Of Unknown Provenance)[[BR]] 
     147이미 개발되어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의료기기에 채택할 목적으로 개발되지 않은 S/W 항목(“기성품 S/W”라고도 함) 또는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적절한 기록이 없는, 이전에 개발된 S/W 항목 
     148 
     149=== 시스템 (SYSTEM) === 
     150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하드웨어, S/W, 시설 및 명시한 요구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하는 사람으로 통합 구성된 합성체 [ISO/IEC 12207:2008, 4.48] 
     151 
     152=== 업무 (TASK) === 
     153완수해야 할 작업의 한 부분 
     154 
     155=== 추적성 (TRACEABILITY) === 
     156개발 프로세스의 두 개 이상 제품 사이에 확립할 수 있는 관계의 정도 [IEEE 610.12:1990] 
     157 
     158=== 검증 (VERIFICATION) === 
     159특정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다는 객관적 증거의 제공을 통해 확인(confirmation)하는 것 
     160 
     161=== 버전 (VERSION) ===  
     162형상 항목의 식별된 인스턴스(instance)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SDE]